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HIV 전선과 HFIX 전선, 무엇이 다를까?

by 전안인 2025. 6. 5.
반응형

전기 공사를 처음 접하는 분들에게는 전선의 종류만큼 헷갈리는 것도 없습니다.
특히 HIV 전선과 HFIX 전선은 외형도 비슷하고 구조도 단순한 단심 전선이지만, 그 쓰임새와 특성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두 전선의 차이점, 시공 장소에 따른 선택법, 그리고 경제적인 측면까지 쉽게 설명드릴게요.

HIV전선 HFIX전선 차이점 사진

1. HIV 전선과 HFIX 전선의 주요 차이점

항목 HIV 전선 HFIX 전선
절연체 재질 내열성 PVC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할로겐 프리)
정격 전압 300/500V 450/750V
허용 온도 90℃ 90℃
생산 굵기 1.5 SQ, 2.5 SQ (단선만) 1.5 ~ 300 SQ (단선/연선 모두 가능)
적용 용도 기기 배선용 옥내 배선, 비상전원, 소방설비 등
화재 안전성 일반 PVC이므로 유독가스 발생 우려 저독성, 난연, 할로겐 프리로 안전성 우수

2. 어디에 어떤 전선을 사용해야 할까?

  • 옥내 배선(콘센트, 스위치 연결 등)에는 HFIX 전선을 사용해야 합니다. HIV는 기기 배선용으로 분류되어, 벽체 내 배선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기기 내부 배선은 과거 HIV가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규격 축소로 인해 HFIX로 대체하는 추세입니다.
  • 소방, 비상전원 등 화재 위험이 높은 곳에는 HFIX의 저독성 난연 특성이 더욱 유리합니다.
  • 굵은 전선(예: 6 SQ 이상)이나 연선이 필요한 경우에는 HIV로는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HFIX를 선택해야 합니다.

3. HIV와 HFIX의 경제적 비교 – 단가 측면

일반적으로 HFIX 전선이 HIV 전선보다 단가가 조금 높습니다.
이유는 절연체의 품질, 난연성, 저독성 재질 등 고급 소재가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HIV는 생산 범위도 제한적이며, 규격상 사용 제한이 크기 때문에
전체 공사비를 고려했을 때 오히려 HFIX를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안전한 선택입니다.

4. 결론 – 옥내 배선 시 어떤 전선을 선택해야 할까?

전기 공사에서 안전성과 규격 준수는 절대 타협할 수 없는 요소입니다.
현재는 HIV 전선이 공식 규격에서 폐지되었고, 옥내 배선이나 일반 전기 공사에서는 HFIX가 표준입니다.

특히 HFIX는 한국전기설비규정(KEC)에서도 기준 전선으로 명시되어 있으며,
허용전류, 시공 방법 등을 정확히 계산해 사용하면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전기 시공이 가능합니다.

✅ 요약 정리

  • HIV는 과거 규격, 현재는 제한된 용도만 사용
  • HFIX는 넓은 굵기, 높은 전압, 난연성과 안전성 확보
  • 옥내 배선, 소방, 비상전원 → 무조건 HFIX
  • 조금 비싸도 HFIX가 더 경제적이고 안전

전기를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도 이 글을 통해 전선 선택에 대한 감을 잡으셨길 바랍니다 😊